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매립장 침출수의 막 바이오반응기와 재래식 생물학적 처리(Membrane bioreactors vs conventional biological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a brief review)

전문가 제언
□ 본문은 지난 30년 간 적용해 온 쓰레기 매립장에서 침출수 처리 공정과 기술을 개관한 것이다. 침출수 강도, 처리 단계의 수, 수력학적 지체 시간과 유기질 부하에 따른 COD 제거를 평가하였다. 그러나 본문은 분량이 부족하여 분석자가 그 일부를 추가하였다. 처음에 나오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과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설명이 그것이다.

○ 본문의 데이터는 약 100개의 논문에서 보고 된 157건의 연구 보고에서 선정하였으며 그 보고는 현저하게 생물학적 처리를 기준으로 한 것이 많다. 화학적 처리를 기준으로 한 보고는 30% 이하이며 물리적 처리(여과, 탈기 등)는 10% 미만이다.

○ 생물학적 처리 공정 중에는 호기성 연못, 활성 슬럿지와 상승류 혐기성 슬럿지 외포(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 UASB) 반응기가 이 보고서의 약 60%를 차지한다. 가장 효과 있는 공정은 여러 처리 기술을 조합한 것이다.

□ 쓰레기 매립장에서 반드시 처리하여야 할 환경적 문제는 첫째 배출되는 메탄가스의 수집과 소각, 둘째 침출수의 처리 및 중화 후 배출이다.

○ 유기물이 박테리아에 의하여 분해 되면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데 매립지에서 발생되는 이 가스를 LFG(Landfill Gas-매립지 가스)라 한다. 그 중 메탄가스는 온실효과가 이산화탄소에 비해 11배나 크기 때문에 반드시 소각하여 이산화탄소로 전환시켜야 한다. 이런 이유로 EU 국가들은 음식물 쓰레기의 매립지 반입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05년 이후에는 음식물의 매립을 전면 금지하도록 입법 예고되고 있다.

○ 폐기물의 매립에서 제일 문제가 되는 것은 비나 지하수의 침투로 생기는 침출수가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침출수 수집 시스템이 있어야하고 누수 여부를 계속해서 관찰해야 한다. 침출수는 현장에 정화시설을 설치하고 이를 정화하여 배출하거나 하수처리장으로 보낸다.
저자
Alvarez-Vazquez, H; Jefferson, B; Judd, SJ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79(10)
잡지명
Journal of Chemical Technology &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043~1049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