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케임브리지 결정구조 데이터베이스의 응용(Research applications of the Cambridge Structural Database (CSD))

전문가 제언
□ 케임브리지의 구조 데이터베이스는 첫 번째 버전이 나온 1970년대 중반부터 기초연구에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초기의 연구활동은 많은 분량의 기하학적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통계적 방법과 도식적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 그 후 특정한 연구 분야의 개관과 CSD가 중요한 역할을 한 모노그래프를 포함하여 근 1,000여건의 CSD를 기초로 한 논문이 나왔다.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1994년에 나온 두권의 <구조 상관관계(Structure Correlation)>이다.

○ 동시에 웹 사이트인 CCDC는 CSD를 기초로 한 연구발표 자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고, 각 연구 논문의 간단한 초록을 포함하고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www.ccdc.cam.ac.uk로 들어가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 유기물질이나 금속-유기물 화합물의 결정구조의 파악은 삼차원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하나의 결정의 구조를 정확하게 규명하기는 어려울 뿐 아니라 매우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다.

○ 따라서 케임브리지가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수록한 데이터에 접근하여 컴퓨터로 가능성 있는 구조를 탐색하는 것이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 같다. 케임브리지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들어가 조사하는 방법 외에도 Mogul이나 InsoStar 같은 다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SD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도 본문에 소개되어 있다.

○ 그러나 결정구조 분석은 아무리 컴퓨터의 검색 능력을 이용한다 해도 상당한 결정구조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다. 아울러 컴퓨터 검색 결과의 해석과 여기서 나온 여러 가능성 중에서 가장 타당한 답을 선택하고 조립하는 것도 고난도의 지적 작업이다.
- 그것은 비록 가장 많은 결정 구조 데이터가 수록되어 있다 해도 전체적인 총량은 아직 충분치 못한 것도 또 하나의 이유이다.
저자
Allen, FH; Taylor, R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33(8)
잡지명
Chemical Socie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63~475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