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 지표수의 미생물오염의 평가(Assessing microbial pollution of rural surface waters - A review of current watershed scale modeling approaches)
- 전문가 제언
-
□ 분수령의 미생물 수질을 모델은 이 분야의 연구자들이 미생물 생태를 조사하고 관련된 미생물의 생존과 이동공정을 이해하는데 기본 틀을 제공하는 데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주요한 핵심 지식과 현장의 살아있는 자료의 부족으로 이들의 예측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 미생물학자, 토양학자, 엔지니어 및 수리학자들이 공동노력으로 미생물 수질오염의 한 차원 높은 수준의 연구가 가능하리라 믿는다.
□ 우리나라의 수질오염의 대표적인 매개체는 공업화 지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산업 폐수와 축산 폐수일 것이다. 농촌 지역의 축산 폐수는 높은 BOD 때문에 완벽한 처리가 쉽지 않아 하천이나 바다로 유출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연안에서 매년 발생하여 어민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는 적조(赤潮)는 이러한 축산 폐수의 바다에의 유입으로 인한 부영양화 때문이다.
□ 농촌의 축산 폐수의 하천이나 바다로의 유출과 지하로 침투하여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현상은 우리나라에서 문제가 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모델링 연구의 중요성이 크다고 할 것이다.
- 저자
- Jamieson, R; Gordon, R; Joy, D; Lee, H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70(1)
- 잡지명
-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17
- 분석자
- 윤*량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