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구충제 어제와 오늘(Veterinary anthelmintics: old and new)
- 전문가 제언
-
□ 인구의 증가와 함께 당장 대두되는 문제는 식량문제이다. 특히 육류의 생산은 동물 자신이 식량을 소비하기 때문에 육류 생산의 효율은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육류을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하다 보니 많은 부작용이 있는 것도 또한 사실이다. 종래에는 없던 , 또는 모르고 지났던 새로운 질병이 발견되어 세계를 공포로 몰기도 한다. 광우병, 조류독감, 구제역 등이 이런 범주라 하겠다.
□ 동물의 기생충은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보면 그렇게 심각하다 할 수는 없지만 생산 효율면에서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초식동물에 있어서는 그 배설물로 인한 전염성이 빠르고 광범위하므로 초기에 해소해야 함은 물론 예방적 차원의 대응이 필수적이다.
□ 본 리뷰에서는 주로 장내 기생충에 대한 구충제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실제 낙농가의 입장에서 보면 기생충 이외에도 쇠파리, 쇠파리의 구더기, 진드기, 옴 쌍구흡충 등 많은 해충들이 연구의 대상이 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초지가 좁고 동물의 축사가 서구에 비해 협소하고, 동물 밀도가 높아서 이 문제의 해결에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제약회사와 낙농가의 긴밀한 협력 하에 집중적인 연구 개발이 필요한 분야라 하겠다.
- 저자
- McKellar, QA; Jackson, F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20(10)
- 잡지명
- TRENDS IN PARASIT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56~461
- 분석자
- 박*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