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바이오매스 가스화 기술 발전과 상업화(A review on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biomass gasification technologies in China)

전문가 제언
□ 본문은 중국 농촌 지역의 바이오매스 가스화 시스템의 현실을 기술적 문제보다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설명한 글이다. 본문에서 볼 때 발전용과 보일러 가열용 바이오매스 가스화 프로젝트는 중국에서 투자회수 기간이 5년 내로 경제적 이점이 있다.

○ 그러나 가정 취사용으로 바이오매스 가스화는 중국에서 거의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오매스 가스화는 다른 이점이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 즉 에너지를 절약할 뿐 아니라 폐기해야 하는 바이오매스를 처리함으로서 농촌 지역의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이 비록 투자회수 기간이 5년이 넘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바이오매스 가스화 프로젝트가 계속 추진되는 이유이다.

□ 소규모 또는 중규모 바이오매스 가스화를 적용하는데 다음과 같은 어려움도 있다. 첫째 투자비의 제약으로 시스템은 최대한으로 간단해야 한다. 따라서 타르 제거나 가스 세척 같은 중요한 공정을 완전히 갖추기 어려워 환경문제가 발생한다.

○ 바이오매스 가스화 기술은 현재 사회가 요구하는 엄정한 환경규제를 모두 만족시키려면 그 경제성이 희생된다. 예를 들어 짚을 가스화하여 가정 취사용으로 쓴다면 분명히 사회적인 효용은 있다.

○ 그러나 비용이 많이 드는 공해방지 시설을 모두 갖춘다면 이익의 창출이 불가능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이오매스 가스화의 대규모화도 농업 폐기물은 국지적인 분포 밀도가 작기 때문에 용량이 커질수록 원료인 바이오매스 수집에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 끝으로 가스화에는 해당되지 않지만 바이오매스 에너지 생산 도중에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CO2는 국제협약(교토 의정서, 등)에서 온실가스 방출로 보지 않는다. 이는 원래 대기 중에 있던 이산화탄소가 식물에 의해 고정된 것으로 탄소의 순환으로 보기 때문이다.
저자
Leung, DYC; Yin, XL; Wu, CZ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4
권(호)
8(6)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65~580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