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미생물의 다양성(Microbial diversity in soil)
- 전문가 제언
-
□ 이 지구상에는 공식적으로 분류된 생물종이 곤충 100만종을 포함한 동물 220만종, 식물 25만종을 등 총 300만종이 넘는다. 그러나 아직 조사되지 않은 것까지 포함하면 3,000만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생물의 종류를 생물다양성(biodiversity)이라 한다. 세계자연보호재단(1989)은 ‘생물다양성이란 수백만 종의 동식물, 미생물, 그들이 가지고 있는 유전자 및 그들의 환경을 구성하는 복잡하고 다양한 생태계 등 지구상에 살아있는 모든 생명의 풍요로움’으로 정의한 바 있다.
□ 미생물은 대부분 흙 속에 존재한다. 지금까지 확인된 것은 전체 미생물의 7% 미만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러한 미생물이 토양 속의 유기물을 구성단위로 분해하여 대자연을 청소함과 동시에 식물에게 영양을 제공하고, 자연계의 물질을 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인간이 매년 쏟아내는 5,000억 톤에 달하는 폐기물은 주로 이러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다는 사실을 생각할 때 미생물에 대한 고마움을 느끼게 된다. 부패와 망각은 신이 인간에게 주신 최대의 선물인 것 같다.
□ 토양 내에서 서식하는 다양한 미생물들은 어떻게 형성되며, 미생물 집단(microflora) 사이에는 어떠한 역학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미생물과 식물, 미생물과 토양 사이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는 일은 물질순환계의 원활성을 유지·발전시키는 데 해결해야 할 필수과제이다.
□ 이제부터는 종전처럼 시비(施肥)에 의한 지력 증진이나 윤작 등에 의한 지력 향상보다는 이들의 작용기작을 철저히 연구함으로써 보다 근본적인 토양 관리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과학적 영농이 이루어질 때 농업 생산성은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게 될 것이다.
- 저자
- Garbeva, P; van Veen, JA; van Elsas, JD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42
- 잡지명
- ANNUAL REVIEW OF PHYTOPATH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43~270
- 분석자
- 임*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