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철도궤도면 흡음재의 개발사례(Development of Acoustic Absorptive Materials on Train Tracks)

전문가 제언
□ 본 연구는 철도에서 슬래브궤도는 궤도소음이 유도상 궤도와 같이 밸러스트로 흡수되지 않아서 유도상 궤도에 비해 소음이 높아져 소음이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어서, 이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제의 연구를 발표한다.

□ 흡수제 사양으로는 흡음성능(500 Hz에서 2 kHz에 0.7 이상), 전기절연성(궤도패드(pad)에서는 3×103 MΩ 이상), 내후성(10년간 이상의 옥외사용가능), 내약품성(포화수산화 칼슘 수용액에 침적 후 인장특성 변화율 ± 30%), 난연성((구(舊) JRS17400-5B-15AR9A)의 난연성), 유해한 용출성분의 배출무(토양오염 환경기준), 탈수성 우수(수주침적 후, 60% RH 보지후 흡음율의 초기값 복원), 열차풍에 의한 비산무), 내동결 융해성, 신간선구간에서 낙하물에 대한 내충격성.

□ 개발사례는 성형재로 3종류의 흡음재를 후보로 선정하였다. 무기질 입자결합재(이하, 무기직재): 입도를 갖춘 규사 등의 무기질 입자를 에폭시수지 등의 수지로 결합한 경질흡음재로서, 철도총연에서 개발한 것이다. 세라믹스계 흡음재(이하, 세라믹스): 경질자기 입자를 약 1,300 ℃ 의 고온에서 소성한 시판흡음재이다. 경량발포콘크리트재(이하, 경량재): 규산칼슘계 수화물을 기재로 한 경량발포콘크리트로 되는 시판 흡음재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국립환경연구원에서 고속철도 소음특성을 연구하고, 이 연구(NIER No. 2001-17-609)에서, 고속철도소음의 현황, 고속전철 소음의 주파수 특성, 전철속도와 소음도의 관계 및 시간변화 특성, 방음벽 차음효과, 고속전철 소음예측, 철도소음에 대한 기준, 철도소음대책, 미기압파 특성, 고속철도의 진동실태를 제시되어, 이 분야의 참고 및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겠다.
저자
Masanori Hansaka ; Takahiro Horiike ; Shogo Mama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28(5)
잡지명
소음제어(N31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39~344
분석자
김*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