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 매뉴팩쳐링 ; 마이크로 접촉 프린팅 기술의 동향(Soft-Manufacturing : Recent Topics of Microcontact Printing)
- 전문가 제언
-
□ 1990년대 후반, 나노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로서 소프트 리소그래피(soft lithography)가 발표되었으며, 이 기술은 마이크로접촉 프린팅(micro Contact Printing : µCP)과 나노임프린팅(nanoimprinting) 리소그래피 등으로 대표된다.
○ 특히, µCP법은 물질의 자기조직화(self-assembled)를 이용하는 기술로 미크론 단위의 패턴이 형성된 PDMS 스탬프를 이용하여 기능성의 자기조직화 단분자층(SAM)을 기판 상에 국부적으로 스탬핑하여 직접 원하는 패턴을 간단하게 제작하는 기술이다.
- µCP법은 재료의 다양성, 고생산성, 저비용의 마스터 및 복제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기술이면서, 동시에 다양한 기능을 가진 단분자층(SAM)을 이용한다는 응용성 측면에서 마이크로/나노바이오 디바이스 제작에 큰 기대가 집중되고 있는 기술이다.
○ 나노패터닝 기술은 초고용량 반도체 및 미소한 반도체 패키지, 마이크로/나노디바이스, MEMS/NEMS 등을 실용화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며, 응용분야로는 기계, 전자, 정보, 의약, 방위산업 등 폭넓은 분야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 지난 8월,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최인성 교수팀과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팀은 포자표면 발현기술과 마이크로접촉 프린팅 기술을 접목시켜 나노바이오 센서의 원천기술을 개발하였다.
○ 이 기술은 생체분자를 원하는 미세 패턴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 건조 등 좋지 않은 조건에서도 안정하게 보관, 사용이 가능하다고 밝히고 있다.
○ 이 기술은 탄저균 등 생물학전 무기로 사용되는 각종 병원균과 암 등 질병진단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Wataru MIZUTANI ; Kiyomi TSUKAGO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25(10)
- 잡지명
- 표면과학(N25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12~617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