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변환기술과 이용기술

전문가 제언
□ 2005년 2월 16일이 되면 마침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교토의정서가 발효된다고 한다. 선진국으로서 1차 의무대상국에 포함되어 있는 일본은 2012년까지 1990년 기준으로 6%의 온실가스 감축을 실현해야 할 의무를 지고 있다.

□ 바이오매스를 에너지로 변환하여 활용하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나오는 이산화탄소, 물, 재, 유기비료 등이 공기, 물, 토양 등을 통하여 생물체에 스며들고 자연에서 순환함으로써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바이오매스에너지의 이용확대는 온실가스 감축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 여기서는 바이오매스에너지 변환기술의 전반적인 기술현황과 일본의 이용현황을 요약하고 있다. 바이오매스에너지 변환방식을 직접연소, 열화학적 변환, 생물화학적 변환, 기타 변환 등으로 크게 나누어 개괄적인 요약을 하고 있으며, 특히 목질바이오매스를 중심으로 직접연소, 화학적 변환의 가스화, 알코올발효를 통한 에탄올 제조, 축산폐기물의 메탄발효를 통한 바이오가스 제조, 폐식물성기름을 이용한 바이오디젤 제조 등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목질펠릿의 제조방법과 목질바이오매스의 이용방식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2013년 이후에는 온실가스 2차 의무대상국에 포함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으며, 따라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실제적인 대책을 시행해나가야 할 상황이 되고 있다. 목질바이오매스의 이용확대는 우리나라 국토의 70%가 산지라는 사실에서 그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으며 직접연소, 가스화 이용, 에탄올 제조 등이 모두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특히, 축산폐기물이나 폐식물성기름을 이용한 가스나 바이오디젤 생산은 비록 이러한 기술들이 아직까지 경제성이 실현되지 못하고 있지만, 좁은 국토에서 심각한 환경문제를 겪고 있는 우리로서는 어느 정도의 재정적 지원을 감수하고라도 적극적으로 시도해볼 가치가 있을 것이다. 이 자료는 바이오매스에너지 변환기술을 전반적으로 개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참고하기에 편리한 자료이다.
저자
K. Sirok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4
권(호)
13(10)
잡지명
Clean energy(N257)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8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