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렌즈의 발전과 렌즈의 이용성
- 전문가 제언
-
□ 플라스틱 렌즈의 장점으로는 대량생산이 가능, 품질편중 불만 시에 작업의 중지가 용이, 성형품의 중심부 두께 관리가 용이, 가격을 저감, 조립작업이 용이, 흐려지기 어렵고, 경량화가 가능하다. 한편 플라스틱 렌즈의 단점으로는 온도변화에 대한 수축과 팽창이 쉽고, 굴절율과 분산에 의한 자유도가 없어 광학설계가 어렵고, 표면에 흠집이 나기 쉽고, 흡수성이 높다. 따라서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유체역학의 연속식, 운동방정식, 지배방정식을 사용하여 렌즈 중심부의 두께수축 변화량과 렌즈의 표면 및 이면간의 체적수축 변형률이 저하되도록 해야 한다.
□ 렌즈의 데이터를 얻은 중심부 두께, 재료, 렌즈형상, 곡률반경의 비율 등이 렌즈의 사출성형의 냉각과정에서 금형과 접촉에서 렌즈 표면 및 이면층이 금형온도, 고화속도 등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고, 중심부 두께의 수축, 팽창 등의 수축변화량이 커지는 영향은 수지의 충진 온도와 금형 온도의 증가에서 주로 발생한다. 플라스틱렌즈는 공정이 까다로워 사출 성형조건을 제어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최적의 사출성형기를 확보하고 표면형상을 정밀 제어하여 사용처의 사양을 밑돌지 않는 광학설계와 광학을 만족하는 사출성형작업이 이루어 져야 한다.
□ 플라스틱 렌즈의 재료로는 PMMA(poly methyl methacrylate)가 주로 사용되며 투명수지의 일반적성질의 상호관계로서 내충격성 PMMA = SAN > GPPS, 내열성 PMMA = SAN > GPPS, 내후성 PMMA > SAN > GPPS, 내약품성 SAN = PMMA > GPPS, 색조 PMMA > GPPS > SAN, 투명도 PMMA > GPPS > SAN, 유동성 GPPS > SAN > PMMA, 가격성 PMMA > SAN > GPPS 등의 장점이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렌즈의 광학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수지선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 저자
- DO, Sato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42(9)
- 잡지명
- 광기술콘택트(N14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73~481
- 분석자
- 임*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