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 프레스 기계용 차세대 금형설치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 전문가 제언
-
□ 일본의 패널 금형기술 동향을 살펴보면 자동차 메이커는 단기간 내에 차종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300∼500벌의 금형조달이 필요하다. 금형제작은 한 개의 부품 수급이 지연되어도 생산일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작 중에도 일정을 지속적으로 고객과 협의하고 시급을 요하는 것의 일정관리가 필요하다. 데이터의 보존을 위해 초도 패널 데이터는 항상 100%를 목표로 하고 있고 샘플용 소재에 오일이 묻으면 안 된다. 드로잉 다이 재질은 FCD-540급에 해당하는 재질이어야 하고 도금처리를 하여야 한다.
□ 조형공정의 안전을 위해 와이어로프 상태를 확인하고 항상 주형운반은 규정 통로를 이용하고 작업자 위를 통과하지 않도록 한다. 금형설치 할 때는 금형설치 면에 손발이 끼지 않도록 주의하고 금형설치를 완전하게 하여 주입 시 용량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안전거리를 유지하고 환기를 잘 시켜야 하며 조형 가스 통로를 충분히 하여 가스 주입이 필요한 경우 폭발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 프레스 제작 공정에서 3차원 평면입체 설계를 통해 시제품 제작 및 금형제작 전에 시뮬레이션을 통해 세밀한 검토를 함으로써 설계오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3차원 CAD 데이터를 바로 CAM 데이터로 활용하여 시제품 제작 및 금형제작에 응용함으로써 제품생산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또한 신기술의 신제품 제작 시 가상의 공간에서 부품간의 금형설치와 동작을 모델링 데이터를 통해 테스트 함으로써 제품 개발의 일정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본고에서는 자동에 이용되고 있는 대형 가공물 금형의 금형설치 작업의 자동화와 고정밀도를 위하여 연구개발의 추진과 상용화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의 신차 출고 경쟁은 금형업계의 납기 단축과 정밀화를 요구하게 되었고 이를 위해서는 3D CAD의 적용과 금형설치 공정의 자동화 및 신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향후 이 개별 프레스 기계에 대한 금형설치 기술이 프레스 제작 공정에 기여하여 자동차 공업의 발전에 일조하기를 기대하여 본다.
- 저자
- Katsumasa Saito ; Takahiro Inoue ; Shinichi Tsuku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19(12)
- 잡지명
- 형기술(N09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8~32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