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촉매재료의 성능시험방법과 표준화 :(Photocatalyst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Testing methods for photocatalytic materials and standardization
- 전문가 제언
-
□ 최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새집증후군에 대한 해결방안의 하나로 광촉매 기술적용으로 탈취, VOC처리, SOX 및 NOX 제거, CO2 환원 등의 효과를 들고 있다.
□ 1970년대 이후 광촉매 반응이 개발된 이래, 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반응이 가능하여 주목되고 있는데, 이 가운데 이산화티타늄이 우수한 광화학적 안정성과 산화-환원력으로 가장 유망하며, 대기오염물 정화 시 폐기물 발생이 없고 안전하고 유지비가 적다는 특징으로 개발이 가속화되어 지금은 박막제조기술로 DVD 증착 법까지 개발되고 있다.
□ 본문의 내용과 같이 일본은 신산업으로서 광촉매에 대한 국가적인 개발과 상품화를 위해 JIS는 물론 ISO까지 표준화를 추진하는 등 수출 전략 상품화하고 있다.
□ 그러나, 이산화티타늄은 반드시 자외선이 있어야 반응해서 가시광선에도 작용하는 광촉매가 필요하고, 반응기구의 해명을 위한 심층연구가 필요하며 활성산소의 유해성 등 안전성도 확립할 필요가 있는 등 기술적 과제가 많다.
□ 또한, 효과에 대한 지나친 기대 등 광촉매에 대한 일정한 기준이 없는 것도 지적되고 있어서, 성능평가를 위한 신뢰성 있는 시험분석방법과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표준화도 필요하다.
□ 우리나라도 2003년 광촉매 재료의 VOC 제거성능에 대한 평가방법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바, 이산화티타늄의 분말제조기술도 확보하는 등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일본이 준비해 놓은 시장에 편승한다면 수출상품으로서도 유망하다고 보여 진다.
- 저자
- Koji TAKEU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40(9)
- 잡지명
- Environment management(N01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894~900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