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의 개발동향(Development Trend of Visible-Light Responsive Photocatalyst)

전문가 제언
□ 가시광 응답형 산화 티탄 광촉매는 자외선이 닿아야 그 기능을 발휘하고, 자외선이 없으면 기능이 발휘되지 않는 광촉매의 결점을 보완한 것이다. 가시광을 흡수시키기 위해서는 이산화 티탄을 물리적·화학적으로 변화 시켜야한다.

□ 산화 티탄계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제조는 타원소를 도핑(doping)하는 방법, 산소를 결손 시키는 산소 결손법 및 다른 물질을 혼합·소성하는 조성비 증감법과 가시영역에 흡수대를 갖는 물질을 이산화티탄 표면에 부착하는 분광 증감법이 있다. 도핑 방법은 질소, 유황, 탄소, 질소 불소 복합체, 및 질소 탄소 복합체와 같은 이온을 산화 소성하여 도핑하는 방법과 크롬이나 바나듐 원자를 도입하는 이온주입법 및 초산 란탄을 첨가후 암모니아로 환원 하는 방법이 있다.

□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광촉매 표면을 활성화하는 문제, 이산화티탄의 결정구조와 관련된 문제, 조사광에 관련된 문제, 타원소를 담지(擔持)하는 문제 ,그리고 사용처에 따른 조건 등 여러가지로 개발해야할 점이 많다.

□ 광촉매 효율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비전문가라도 쉽게 광촉매의 성능을 판단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보급할 필요가 있다. 광촉매 하나로 모든 역할을 전부 감당 시키지 말고 분담시켜 부하를 줄이는 것도 생각해볼 일이다. 예를 들면 광촉매에 의해 산화 분해반응이 개시되면, 광촉매 기능이 아닌 다른 에너지를 추가로 공급하여 광촉매 성능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저자
Taizo SANO ; Kazuhide KOIKE ; Koji TAKEUCHI ; Sadao MATSUZAW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40(9)
잡지명
Environment management(N01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64~870
분석자
엄*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