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제조업과 자동차산업

전문가 제언
□ 중국의 제조업은 단 기간 내에 경이적인 성장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자동차산업을 중요한 중국의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장기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자동차에 관한 고도의 생산기술과 고도 소재기술은 물론이고 최신의 환경기술과 에너지 절감기술을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중국은 모터라이제이션(Motorization)이 도래하여 중국 국내의 수요도 급증하고, WTO의 가입으로 관세를 내리고 자동차가격도 내리고 있어 자동차의 수요와 공급이 과거 일본 성장속도의 10배속으로 증가될 추세이다. 세계의 거대 자동차회사들이 중국에 진출하여 중국 각지에 대규모 자동차공장을 건설 중으로 향후 몇 년 내로 일본을 추월하여 세계 2위의 자동차생산대국이 될 것이다.

□ 세계적으로 철과 석유자원이 부족한 현실에서 중국의 자동차 생산 증가로 철과 석유자원의 가격이 계속 상승하고 있다. 자동차 생산의 증가에 따라 부각되고 있는 다른 문제는 지구환경의 오염을 증가시킨다는 점이다.

□ 중국 국내의 수요 확대로 각지에서 일제히 공장이 증설되어 100여 개의 자동차공장이 난립하고 있다. 중국의 자동차산업은 세계의 거대 자동차메이커가 경쟁적으로 증설을 계속하면 가까운 미래에 과잉생산체제로 전환될 것으로도 우려되고 있다.

□ 제조업이 중국으로 이전되어 발생하는 문제점도 많다. 일본뿐 만이 아니라 가까운 한국, 대만도 제조업의 공동화를 초래하였다. 기술의 유출도 심각한 수준으로 선진국으로부터 간단히 입수한 기술은 역시 쉽게 유출된다. 대만, 싱가포르, 홍콩은 거리적으로 가깝고 언어장애가 없어 중국으로 생산이 이전 시 큰 저항이 없이 기술이전도 가능하다. 그러나 중국의 싼 인건비와 큰 국내시장을 감안하면 제조업의 중국이전의 대세는 당분간은 변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저자
Yoshida Hirom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42(12)
잡지명
프레스기술(M172)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8~24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