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 드로잉 가공의 기초와 기술 동향
- 전문가 제언
-
□ 드로잉 공정은 한 개의 평판을 사용하여 상하의 같은 모형의 펀치와 다이를 사용하여 압축에 의한 힘으로 이음매 없이 일정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가공법이며, 대량 생산과 자동화를 할 수 있는 것으로 성형 가공법 중에서 아주 유익한 가공 방법이다.
□ 재료에 따라서 직경에 대비하여 깊이 변형에 대한 한계가 있으므로 복잡하거나 깊이가 깊은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수차에 걸친 가공이 이루어져야 하며, 연속가공 시에는 가공경화에 대한 보완 등 개선이 필요하다.
□ 드로잉 가공은 주로 재료 내부 구성입자들의 유동에 의한 성형 방법으로 다이와 펀치의 어께반경(R)과 제품의 직경과 깊이 및 재료의 블랭킹 형상 ,그리고 유동 현상에 저항하여 발생하는 주름과 찢어짐 등에 대한 개선 대책이 강구되어야 더욱더 발전 할 수 있는 기술이다.
□ 향후의 발전방향으로는 프레스 장비에 대해서는 고속화와 고기능화 그리고 고 정밀도, 무 소음, 자동화, 그리고 고 생산성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며, 재질에 대해서는 연강에서 일반강, 특수강으로 변화하고, 또 박판에서 후판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그리고 재료의 이송 방법으로는 트랜스퍼나 프로그레시브 금형 등을 이용한 연속 대량생산으로 변화하는 추세이고, 계속하여 연마공정 혹은 베어링 삽입공정 생략 등으로 높은 생선성과 비용절감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다.
□ 따라서 드로잉 가공기술은 제품의 형상을 일체로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기술로 더욱 더 개선 발전함으로서 현재의 기술의 급변과 인건비 및 후발국가의 추격 등 악화되는 주변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가장 유망한 기술 중 하나이다. 이는 특히 자동차나 반도체 기타 산업의 경쟁력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본 드로잉 기술은 계속 개선 및 발전하는 계기를 만들어야 하겠다.
- 저자
- Takeo Nakag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2(9)
- 잡지명
- 프레스기술(M17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8~24
- 분석자
- 하*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