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금형고객과 제조사의 동향에 따른 일본 금형 제조사의 방향성
- 전문가 제언
-
□ 일본의 중국시장에 대한 경우와 한국의 입장이 너무나 비슷하다고 생각된다 한국의 경우 2003년과 2004년 10월까지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수출은 동기간 31%증가한 6억 6700만$이며 금년 말까지 10억$를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수출실적은 매우 고무적이다. 반면 수입은 같은 기간에 7500만$로 전년 동기간에 비하여 40.5%가 증가 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중국은 수출보다 수입이 훨씬 많은 반면 한국은 수입보다 수출이 훨씬 많은 편이다. 그러나 중국의 표준 몰드베이스의 저가공세는 이미 시작 되었다.
□ 국내 금형업체의 애로사항 역시 일본과 비슷하여 고급화로 선회하고 있으며 내수시장에서는 특히 금형고객인 기업에서 실시하는 부품설계와 함께 금형제조사 그리고 금형을 활용하여 플라스틱 성형 가공하는 업체 또는 프레스 가공업체 사이에 적절한 협업체계가 어느 때 보다 긴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그 이유는 제품 설계변경 또는 금형 설계변경에 대한 협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경제적인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금형업계의 공통된 애로사항은 수주량이 항상 일정하지 않다는 점과 또 제품 또는 부품의 수명주기가 점점 단축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수주가 한 시점에 몰리게 되는 경우에는 작업물량을 분산시킬 수 있는 업계 간의 협력체제가 필요하며 대형고객인 자동차업체와 가전 전기 업체의 해외 공장 건설과 함께 시장 확보를 위해 동참 진출하여야 한다. 현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주금형의 빠른 납품과 함께 정밀성을 요구하는데 대한 대응능력이다.
- 저자
- Norio Kubo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2(9)
- 잡지명
- 프레스기술(M17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8~43
- 분석자
- 마*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