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가공품 식품의 트레이셔빌리티 시스템 및 정보 일원화 관리 시스템의 개발과 과제

전문가 제언
□ 트레이셔빌리티란 Trace(추적) Ability(가능성)의 합성어 이다. 농산물 등의 생산에서부터 가공 · 유통 · 판매 등 모든 단계에서 그 정보를 추적하거나 소급할 수 있는 체계로「식탁에서 생산자의 얼굴을 볼 수 있는 안심시스템의 구축」을 의미한다. 소비자들이 식별번호 하나만 간단히 입력하면 「농산물」은 물론 「가공품」까지도 원료의 생산 · 유통과정 및 상품에 얽힌 정보를 한눈에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 최근 일본 업계의 화두는 단연 「식품의 안전 · 안심」이다. 광우병에 이어 식품 표시의 위장 표시, 무등록, 농약의 사용 등 식탁을 위협하는 사건이 잇따르면서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과 불신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를 비롯한 농업 단체와 유통업체들까지도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생산 이력제 (traceability) 시스템이다.

□ 일본 정부는 이 시스템의 도입을 위해 지난해부터

○ 조회번호 · 아이디번호에 의한 개별제품과 사업자 · 장소 등의 식별 시스템 구축
○ 데이터의 작성에서부터 측정 · 보관 · 조회 등 일련의 데이터 체계 확립
○ 인원 · 재원 · 기계 · 설비 · 소프트웨어 · 기술 등의 경영자원 확보
○ 법적 · 제도적인 장치마련 등에 박차를 가해 왔다.

□ 기업의 회계, 판매, 물류, 생산 등의 수많은 업무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활용한 정보시스템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래서 기업정보시스템의 기반인 데이터베이스가 성공함에 따라, 보다 대량의 데이터 축적과 검색이 가능해지면서 고속의 업무처리 기능이 구비된 대규모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 앞으로 WTO 체제 아래서 관세 인하 등 농산물 등 수입확대 압력이 더욱 거세질 것에 대비해서라도 산지재배 이력제의 신속한 정착을 통해 수입 산물과의 차별성을 소비자에게 가시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만 살아남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Shingu Kazuhir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43(10)
잡지명
Japan Food Science(M147)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2~39
분석자
이*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