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VDF 수지의 포뮬레이션에 의한 차열 도료의 특성
- 전문가 제언
-
□ PVDF(Poly-vinylidene fluoride)는 불소수지의 하나로 거의 모든 화학 약품에 안정성이 있으며 기계적 성능과 마모성이 대단히 우수하며 가스 차폐성이 좋다. 불소수지란 반복 구조 단위에 불소 원자를 함유한 고분자 전부를 말하며 PVDF 외에도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FA(perfuo alkyl), FEP(fluorinated ethylene co-polymer propylene), ETFE(ethylene-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CTFE(poly-tetra-fluore ethylene co-polymer), PVF(poly-vinyli-fluoride) 등이 있다.
□ PVDF는 불소수지 중에서 최고의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불소수지의 장점인 내약품성과 기계적, 열적, 전기적 특성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화학, 전자, 제약, 식품, 제지 등의 각종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미국 FDA에 적합 판정을 받을 정도로 식품 위생성이 뛰어나고 내연소성과 저 발연성이 뛰어나다. 특히 공기 중에서 150℃까지의 온도에서 연속사용이 가능하고 자외선에 견디는 성질이 뛰어나기 때문에 내후성이 아주 우수하다.
□ 1969년 H. kawai는 고분자 물질인 PVDF를 고온에서 강한 전기장을 걸어주면 압전성이 크게 증가함을 발표하였다. 그 후 이것을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분극 처리된 PVDF 필름이 초전 현성을 나타내는 것도 발견되고, PVDF 고분자의 초전 특성으로 우수한 적외선 센서를 제작할 수도 있었다.
□ 국내 페인트 회사에서도 최근 일본 특수 도료 전문 회사와 기술 제휴를 체결하고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건축물 외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열차단도료(차열도료)와 실내 공기 오염 물질을 분해하고 제거하는 냄새 제거용 도료를 상품화하기 시작하였다. 자외선에 노출되기 쉬운 건축 면은 일정량의 자외선을 흡수하면 탄성 연결 고리가 끊어져서 안정성을 잃게 되고 도장, 시멘트, 콘크리트의 파괴 원인이 될 수 있다.
□ 본고에서는 PVDF 수지를 이용한 차열 도료 카이나 500의 특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카이나 500의 내후성에 대한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도 외장 패널에 대해서는 아주 우수하여 품질도 거의 일본 수준에 와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차열 도료로서 카이나 500을 능가하는 제품을 생산하여 미관이나 에너지 절약에 크게 공헌하기를 기대해 본다.
- 저자
- Masahiko Iwashi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3(8)
- 잡지명
- 도장기술(L11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1~56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