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료에 있어서 유해성 중금속 대책의 현황

전문가 제언
□ 모든 건설분야는 말할 것도 없고 자동차, 선박, 전기・전자분야 등 모든 산업분야에서 꼭 필요로 하는 수많은 종류의 상용도료에는 도료의 종류가 많은 만큼이나 도료에 필요한 원・부재료도 천연물에서부터 인공합성화학물질에 이르기까지 수만~십수만종이 존재하고 있으며 쓰이는 원료의 일부분이 특히 환경오염에 영향을 주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이나 중금속류이기 때문에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해서 이러한 유해화학물질의 함량이 항상 심각한 문제가 되는 것이다.

□ 특히 도료제조의 원료인 중금속물질과 용제로 주로 쓰이는 대표적인 휘발성유기화학물질(VOC)은 인간활동과 밀접한 건물이나 주택의 건자재나 가구용도로 쓰일 경우 장기간동안 유해물질을 환경에 배출하거나 자체의 열화나 폐기시에도 집중적인 유해요인을 주기 때문에 이러한 유해물질이 애초부터 쓰이지 않은 도료를 사용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고 그런 의미에서 국가적인 규제를 받아야 할 것이다.

□ 선진국들과 이웃 일본에서도 현재는 「Sick House Syndrome」의 주된 원인이 건축자재 및 접착제에 주로 쓰이는 중금속물질과 휘발성유기화합물임이 명백히 밝혀져 최근에는 이러한 물질들의 사용을 전면 금지하거나 사용을 제한하는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서 도료메이커마다 고달프지만 대체처방의 개발에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대책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일본의 유명한 도료메이커인 Kansahi Paint사의 환경안전부가 현재 일본에서 진행하고 있는 도료의 중금속물질삭감을 위한 그간의 경과와 현재의 상황 및 앞으로의 연구개발방향을 집중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우리나라 동종업계의 연구자와 연구기관 및 건설시공업체의 실무자와 사용자들도 주의깊게 읽을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자
Michiharu Kitabatak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43(8)
잡지명
도장기술(L11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7~66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