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면과학적 방법에 의한 고분자의 기능화(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Polymers with Surface Chemical Technique)
- 전문가 제언
-
□ 고분자의 표면에 대한 기능성은 고분자의 표면장력, 계면장력, 접촉각등을 측정함으로써 그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다성분계 고분자에서는 접촉하는 매체의 특성에 따라 계면 자유에너지가 최소가 되도록 세그먼트가 계면에서 선택적으로 흡착, 배향함이 밝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 특성을 이용하여, 새로운 기능성 고분자 개발에 관한 연구를 행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 양친매성 공중합체인 MMA/MPEGMA/PDMSMA를 합성하고 그 조성변화에 따르는 항혈전성을 검토하고, EA/MPEGMA/PDMSMA, St/MPEGMA/PDMSMA 3원 중합체, AA/EA/MPEGMA/PDMSMA 4원 중합체를 유화중합하여 접착제와 점착제의 응용과 또 이들이 계면활성제로 활용에 대하여도 검토하고 있다.
□ 과풀르오로알킬에 의한 발수성을 검토하기 위해 MMA와 과풀르오로옥틸메타크릴레이트(PFOM)와의 공중합체(MMA/PFOM)를 얻고, 이에 대한 동적접촉각이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MEK 용액으로 제막한 MMA/PFOM 필름에 대하여는 열처리로 인한 동적접촉각을 검토하고 마지막으로 에폭시수지와 배합한 시료의 표면에 대하여 실리콘계 점착테이프의 박리성에 대해 측정하여 응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다성분계 고분자에서는 접촉하는 매체의 특성에 따라 계면자유에너지가 최소가 되도록 세그먼트가 계면에서 선택적으로 흡착, 배향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그 반응 기작과 다성분계 고분자의 조성, 배열 상태에 미치는 영향 등 기초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이 특성이 확인된다면 고분자 계면의 특성을 자유자재로 변화시킬 수 있어, 새로운 기능성과 경제성을 갖춘 소재 개발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Tomoyuki KASE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0(10)
- 잡지명
- 일본접착학회지(J13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30~436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