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독성평가를 위한 Bioassay(Bioassay for Ecotoxicology Research)
- 전문가 제언
-
□ 생태환경에서의 화학물질을 비롯한 온갖 독성물질에 의한 생태환경의 파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나 일본 등에서 지금까지 주로 사용하던 화학물질 위주의 화학분석도 필요하지만 생태계의 복잡성과 생태계의 생물학적인 역할도 고려하자면 생태독성학에 기초한 Bioassay적인 접근이 또한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 오래된 낙동강의 페놀유출사건과 같은 사고는 항시라도 우리 주위에서 고의든 부주의에 의해서든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히 기본수계에서의 독성물질에 의한 피해를 조기에 차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도 Biomarker를 이용한 조기경보체계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보며 이를 위해서는 환경생물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 지금 BT, IT, ET, NT 등 첨단과학을 바탕으로 한 분야가 앞으로의 산업과 경제를 이끌고 갈 것으로 예상하고 전 국가적인 연구역량을 여기에 결집시키고 있는데, 수계에서의 독성물질 조기경보시스템이야말로 적어도 이 한 분야에 BT, IT, ET와 관련된 첨단기술이 총합적으로 포함되어야 완벽한 성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하천과 강 및 호수수질을 독성물질로부터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우선 4대강의 독성물질조기경보시스템개발을 제안하고 싶다.
□ 본 논문은 일본에서도 유럽이나 미국에 비해 뒤떨어져 있다고 보는 생태환경의 독성평가를 위한 Bioassay연구의 필요성을 일본국립환경연구소의 실무자가 제시한 것으로 우리나라도 똑같은 처지에 있는 점을 감안할 때 환경부당국자나 국립환경연구원의 책임있는 실무자들이 일독하고 우리의 대책수립에도 근거로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 저자
- Shosaku KASHIWA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358)
- 잡지명
- Bunseki(F03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98~603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