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리개용 성형용지의 개발동향(The Development Trend of a New Paper Materials for Draw Forming)
- 전문가 제언
-
□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등에서 사용되는 식품용 심명(深皿:깊은 접시)용기는 현재는 거의 대부분이 플라스틱제가 주류임. 이런 용기를 제지로 대체하면, 태워버리는 데서 오는 공해발생에 대한 고민도 해결되며, 회수되는 효율도 증가되는 장점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제지용지로는 사용되지 못함. 이러한 이유는 종래의 제지 용지를 프레스 가공하여 만들면 강도가 부족하고, 밀봉에 따른 밀폐성이 낮아 성능 상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음.
□ 이러한 것은 종이는 플라스틱에 비해 연정성(延展性)이 없기 때문이고, 종래의 성형용지는 단단한 고밀도로 가공하게 되면 균열이나 갈라지는 데가 생겨,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음. 그래서 일본 Ojipaper사의 「파인 프레스 공법」에서는 『가공전과 가공 후에서의 강도에 큰 차이를 생기지 않게 하는 것』에 대한 연구과제로 하여, 프레스가공 시 성형용지에 대하여 끌어당기기, 접어 구부리기, 압축 등 다양한 힘이 다양한 방향에서 작용하게끔 하여, 모든 힘에 대해서 내성을 갖게 해서, 용기의 성능저하의 원인인 부서지나 요철을 방지하기 위해 특수한 다층구조를 채용하여 먼저 표면에 가까운 층에서는 가공 시에 끌어당기기와 접어 구부리기의 힘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부서지기나 균열이 생기기 쉽게 되는데, 이를 방지키 위해 최 외층에는 강도와 탄성률이 높은 펄프를 사용하고, 다른 한편, 내측의 층에는 부드럽고 밀도가 낮은 펄프를 사용하여, 어느 방향에서도 극히 가늘고 균일하게 찌부러지게 하는 것으로 표면에 생기는 요철을 줄임. 이러한 결과 종래의 성형용지의 약 2배의 연전성을 실현하여 심명(깊은 접시) 등에 자유로운 형상의 가공이나 밀봉뚜껑에서의 밀폐에도 적합한 매끄러운 마무리를 가능케 하였다함.
- 저자
- Yoshiyuki ASAYA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13(5)
- 잡지명
- 일본포장학회지(F01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75~281
- 분석자
- 임*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