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부작용이 적은 신규 항암제의 개발-DNA를 표적으로 한 새로운 광선역학 요법제-(Development of Selective Antitumor Agents : DNA Targeted Drugs for Photodynamic Therapy)

전문가 제언
□ 항암치료제는 일반적으로 화학요법제와 생물학적 요법제로 분류할 수 있는데 수술을 통한 암세포 절제술은 조기 발견 또는 전이되지 않은 경우에만 가능하다. 과거 10년 동안 암환자치료에 있어서 화학요법제가 주로 이용되었으나 기존 화학요법제의 대표적인 문제점은 부작용, 내성 또는 재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이상적 항암제 개발을 위해 최근에는 생물학적 요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즉, 암치료의 주류는 수술, 방사선요법, 화학요법이었으나 미래는 혈관신생억제, 면역요법, 유전자요법, 광선역학요법 세포주기와 Apotosis, 세포이식 등이 주로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 항암제치료법의 향상에 의해 암치료제는 급속한 진보를 거듭해 왔다. 그러나 암의 약물응답성의 저하, 즉 약제내성의 문제는 완전치유를 곤란하게 하는 임상적으로 최대 문제로 되어 있다. 항암제가 작용하는 대사경로는 암세포에 특이한 것이 아니고 정상세포에도 동일하기 때문에 암세포의 선택적 독성(selective toxicity) 때문에 임상적으로 화학요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therapeutic index가 클수록 정상조직에 대한 독성은 피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항암제 개발이 가능하다. 최근에 와서 생화학기전의 괄목한 발달로 새로운 기전에 의하여 항암제를 개발하려는 시도를 접할 수 있으며 그 하나가 ABC 수송체 억제물질에 관한 연구이며 약물 내성을 억제하고 bio-availability를 높여주는 새로운 항암 화학요법제의 개발이 기대된다. 또한 프로테오믹스, 게노믹스 등을 기초로 한 새로운 기능성 인공단백질요법, Tat 단백질이나 penetratin과 같은 캐리어-펩티드를 이용한 약물의 세포 내 도입법, 인공 DNA 유사체인 peptide nucleic acid의 개발 등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선택적이며 안전성이 있는 항암제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 기존 광선역학요법의 단점을 극복하고 암 세포의 유전자 DNA만을 선택적으로 직접 파괴함으로써 항암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당-삽입물 결합형 인공 DNA 분자를 이용한 새로운 광선역학용법은 앞으로 암치료의 문제점인 정상세포에 대한 안전성이 해결되고 암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치료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서 약물 흡수능의 증진 및 약물 내성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Kazunobu Toshi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33(10)
잡지명
Fine chemical(E402)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8~38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