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적인 다양성이 요구되는 시대로 -그린 구입은 신국면 : 현상과 앞으로의 방향-
- 전문가 제언
-
□ 1992년에 브라질의 Rio de Janeiro 지구 정상회의가 개최되어 지구온난화가 처음으로 지구적인 환경 문제로 사회적 관심이 단번에 고조되었다. 이것을 하나의 계기로 하여 산업계는 여러 환경 기술의 개발이나 그 제품화를 본격화하였다.
□ 2005년 2월 16일부터 Kyoto의정서가 발효되면 일본은 1995년에 배출하였던 CO2 배출량을 2008년까지 6%를 삭감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모든 가능한 방법을 동원하여 CO2의 배출을 억제하여야 하는데, 이 일환으로 그린 구입이 시행되었다. 환경에 부하가 적은 상품을 우선적으로 구입함으로써 환경 상품의 시장을 확대하여 제품 개발을 촉진하고 이어서 지속 가능한 경제사회를 창조한다는 그린 구입의 이념은 구역이나 업종을 초월하여 폭넓은 찬동을 얻어 GPN의 회원수는 순식간에 수백단체에 이르렀다. 2004년 7월 현재의 회원수는 약 2,800단체에 도달하였다.
□ 우리나라는 2013년부터는 Kyoto의정서의 대상국이 되리라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 미리부터 CO2의 삭감 노력을 할 것인가, 아니면 그때 가서 CO2의 삭감 노력을 하는 것이 유리한가는 판단의 차이가 있겠으나, 지금부터 CO2 삭감에 협력하는 것이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고 국제 협력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 저자
- H. Sato ; S. Kurauchi ; S. Yasu ; K. Hosi (etc.)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5(11)
- 잡지명
- 월간지구환경(E35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4~45
- 분석자
- 이*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