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색소증감 태양전지의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 for Dye-sensitized Sollar Cells)

전문가 제언
□ 화석연료의 유한성과 지구온난화에 따른 Kyoto협약 등으로 대체에너지 개발이 신기술 개발 분야로 급부상하고 있다. 지금까지 대체 에너지로는 태양열, 지열, 풍력 등이 많이 연구되고 있으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대규모 및 사업성면에서 보면 태양열이 가능성이 가장 크다.

○ 특히 화석연료가 부족한 한국, 일본과 같은 에너지 빈곤국에서는 태양열발전기술 우위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일본은 2030년을 목표로 태양열에너지 이용률을 총사용 에너지의 10%로 하고, 국책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소재기술, 대형화기술, 원가절감기술 등 종합적인 연구가 진행 중이며, 2010년에는 4.82GW의 태양열발전소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 지금까지 태양열발전 시스템은 실리콘 단결정, 다결정 Si, 아몰퍼스(amorphous) Si 등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1991년 Grӓtzel 등이 변환효율이 높은 색소증감 태양전지(DSC)를 발표했다. DSC에는 저비점(BP), 저점도인 유기용매전해액(OLE)이 사용되는데 OLE는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휘발로 인한 성능 저하가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 Grӓtzel의 DSC에서 문제점을 개선할 목적으로 OLE 대신 ILE(이온성 액체전해질) 개발을 위한 그간의 연구결과를 종합 정리하였다. 아직 변환효율 면에서 OLE에는 미치지 못하나 열화문제를 해결했으며, 향후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하고 있어 이 분야 연구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Michio On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24(11)
잡지명
기능재료(D323)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5~62
분석자
오*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