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처리 변형 시뮬레이션에 이용하는 재료 특성
- 전문가 제언
-
□ 기계공업의 발전을 뒷받침하는 기초 산업기술로 열처리가 있다. 열처리는 기계장치 소재 및 부품의 특성을 개선하여, 제조되는 기계장치의 성능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열처리공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이 담금질이다.
□ 담금질 열처리에서는 현미경 조직과 기계적 특성의 변화와 함께 응력변형이 초래된다. 이 응력 변형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불량요인으로 이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담금질 열처리의 핵심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열처리 현장에서는 경험이나 실패를 거듭하는 실험을 통하여 어느 제한된 범위의 적정 조건만을 어렵게 터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작업은 적지 않은 비용과 실패를 흔히 가져옴으로써 열처리 작업의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 우리나라도 자동차, 선박, 공작기계 등 기계공업 수준이 크게 발전하여 국가 경제의 기반을 이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열처리 공업의 중요성도 그만큼 높아지게 되었다. 그러함에도 열처리 기술 자체는 그 중요성만큼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계속하여 시설의 개선은 물론이고 첨단 기술의 하나인 시뮬레이션 기법의 도입이 절실하다. 이들 기술의 연구 개발과 현장 기술화는 바로 기계공업의 획기적인 발전을 이룩할 수 있는 방안이기 때문이다
□ 이미 선진국에서는 정보화 기술을 열처리 등 기초소재 생산 기술과 접목하여 선진된 기술로 국가 경쟁력을 더욱 높여가고 있다. 열처리의 과제인 담금질 응력-변형의 사전 예방 대책으로 소재의 제반 특성에 기초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전산화하고 이를 생산 현장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미 상당한 수준의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우리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의 개발은 산학연 연구 개발의 훌륭한 과제가 될 것이며 필수적인 것이라고 사료된다.
□ “열처리 변형 시뮬레이션에 이용하는 재료 특성”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현장은 물론이고 국산화 연구개발에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믿어지며, 속히 산학연 연구의 활성화로 국내 열처리 기술의 전환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저자
- K. Oka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41(5)
- 잡지명
- 공업가열(D27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2~28
- 분석자
- 김*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