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진표현의 전개- 19세기를 중심으로((The History of Photography)Development of Photographic Expression : Focusing on 19th Century)

전문가 제언
□ 사진술은 1839년 프랑스인 Niepce 와 Daguerre 및 영국인 Talbot에 의해 각기 독립적으로 발명되었다. 프랑스에서 발명된 초기의 은판사진은 Daguerreotype로 알려졌으며 요오드화은(AgI)을 유리판에 입혀 촬영하고 수은증기에 노출하여 영상을 얻었고 1회 촬영으로 1매의 사진을 얻는 방식이었다. 한편 영국의 최초 사진술은 유리판 대신 반투명 상태로 가공한 종이에 식염수와 질산은(AgNO3)을 묻혀 촬영하여 잠상을 만든 다음, 현상과정을 통해 영상을 얻었으므로 1회의 촬영으로 여러 장의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이른 바 Calotype 사진의 초기기술이었다.
발명당시에는 어느 방식이건 모두 빛에 대한 감도가 낮아 초상화나 움직이는 물체의 촬영이 어려웠으나 콜로디온 습판기술(wet collodion process)을 거쳐 건판기술로 점차 개량되면서 감도도 향상되었다.

□ 19세기의 사진술 발명은 경탄과 함께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사진 표현법과 관련하여 예술성 여부의 논란이 계속되면서 사진가는 회화성을 추구하였고 화가는 사진을 경계하면서 예술적 표현방법을 익히기도 하였다. 사진의 예술성 논란은 오늘날에도 일부 계속되는 추세임을 부인하기 어렵다.

□ 오늘날에는 디지털카메라의 판매대수가 재래식 카메라 판매대수를 훨씬 웃돌고 있다. 빛의 광전효과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는 기존의 필름을 무용지물로 만들었고 고감도, 고화질화, 경량화, 자동화, 대중화, 편의성 및 신속성 등 여러 면에서 기존의 사진기술을 앞서가고 있으며 사진 표현방식도 한층 다양해지고 있다.

□ 사진기술은 현대과학의 결정체의 하나이며 자연현상의 탐구, 자료와 사실의 기록 및 보존에 의한 학문적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수단이다. 또한 다양한 표현기술로 예술의 창달에도 기여할 수 있는 대중적 수단으로 그 위상을 높여간다고 생각된다.
저자
Akira YOSHI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66(6)
잡지명
일본사진학회지(D14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59~568
분석자
김*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