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 MEMS
- 전문가 제언
-
□ 전지나 셀을 가능한 한 소형화하면서 휴대용 정보기기에 탑재하고자 하는 욕구는 전지의 출력밀도에 의한 러닝타임의 긴 시간과 질 좋은 출력을 기대하고 있다. “파워 멤스 (Power MEMS)”에서는 소형연료전지로 DMFC(Direct Methanol Fuel Cell), 연료 개질기 부착 고체고분자형 연료전지(PEFC)와 초소형 가스터빈 발전기의 현황에 대한 개괄이다.
□ 이들의 연구 개발은 비밀에 부쳐져서 진행되기 때문에 명확한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초소형으로 구성함으로서 아직도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점이 산적해 있다.
□ 연료전지의 경우는 MEMS기술을 적용할 때, Si 기판 상에서 유로 등을 형성할 때 촉매전극과 이온전도 막을 형성할 때 고착성에 문제가 있고, 촉매의 딥 코팅에서도 물질의 선정과 강도를 보장하는 코팅의 신뢰성 등의 문제가 개선되어야 한다.
□ 초소형 가스터빈 발전기는 익차(翼車)의 회전수를 200만 rpm까지 올리는 것과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여하히 냉각시키는가 하는 등 수많은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부분이 아직도 많이 존재하고 있다.
□ 이러한 난제들을 뚫고 연구를 진행하는 MIT나 Tohoku대학 등의 연구팀의 의지를 살만하지만, 이러한 연료전지나 초소형 가스터빈 발전기가 기존의 리튬 2차전지보다 여러 가지 면에서 우수성을 보일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을 계속하는데, 기관부품의 성공을 거쳐 완성품에 이를 것을 기대해 본다.
- 저자
- Shuji TANAKA ; Masayoshi ESA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54(12)
- 잡지명
- 표면기술 (C13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908~914
- 분석자
- 손*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