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현상과 연구개발 동향(Recen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Lithium Ion Batteries)
- 전문가 제언
-
□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수소 이차전지와 고체고분자형 연료전지와 함께 이동성 휴대용기기에의 적용을 목표로 한 치열한 국제적인 연구개발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 일본의 전지생산액은 작년에 6,800억 엔을 달성하였는데, 1조원을 달성하는 것이 관련 산업과 기술관계자의 꿈이다. 이들 중에서 휴대전화 등에 사용되는 리튬 이온전지가 37%를 차지한다. 현재 일본의 세계의 시장점유율은 50%이고, 1차 전지는 전체에서 74%이다.
□ 현재는 리튬 이차전지와 고체고분자형 연료전지는 대형화하여 자동차나 건물의 거치식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형화에 따른 투입소재의 코스트 면을 많이 고려하고 있다. 전지반응의 특성이 좋게 나오는 소재로 Pd, Co, V등이 있는데 자원적인 면도 고려하여 값이 싼 철과 망간계로 연구방향을 잡고 있다.
□ 이러한 중요성으로 전지의 고용량화, 고출력화에 성질이 양호한 활물질이 최고인데, 표면기술의 발전이 대단히 중요하여 활물질 입자간의 접촉, 집전체 계면과 활물질 분체와의 접촉, 활물질과 도전재의 접촉, 활물질과 전해액의 계면, 활물질 자체의 표면상태 등 구도의 상태가 충 방전용량을 좌우한다. 그런 면에서 국내에서도 표면기술에 대한 수준을 한 차원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리라 본다.
- 저자
- Kaoru DOKKO, Isamu UCHI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54(12)
- 잡지명
- 표면기술 (C13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915~920
- 분석자
- 손*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