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필드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한 새로운 PLC 시리즈의 개발

전문가 제언
□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는 디지털이나 아날로그 입출력 모듈을 통하여 기계나 프로세서에 대한 시퀀스(Sequence), 로직(Logic), 타이밍(Timing), 카운팅(Counting), 연산 등의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전자장치로 정의된다. 1960년대 말에 미국 GM사가 자동차 조립라인에 적용하기 위해 시퀀스(Sequence) 전자제어장치의 조건을 발표한 것이 PLC 기술개발의 계기가 되었으며, 초기에는 PC라고 불렸으나 개인용 컴퓨터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미국전기공업협회(NEMA)가 1978년에 처음으로 PLC라고 명명하였다.

□ PLC는 설비자동화와 능률화의 추구에 따라 그 적용범위가 더욱 확대되고 있으며, 지금은 식품, 제철, 섬유, 화학, 자동차, 기계, 상하수도, 물류, 공해방지 등의 광범위한 산업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공장자동화와 다품종소량생산시스템(FM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의 추세에 따라 PLC의 고기능화와 고속화는 가속화되고 있다.

□ 이 자료는 최근에 일본의 Mitsubishi Electric이 개발한 고기능 시퀀서 FX3UC의 기본성능과 각종 기능을 소개하고 있다. FX3UC의 장점으로서 대용량 메모리, 고속처리, 고속카운터/위치결정 기능의 향상, 통신기능 강화, 아날로그제어 용이 등을 들고 있으며, 특히 일본에서 크게 보급되고 있는 개방화 필드네트워크(Field Network) CC-Link보다도 배선성이 더욱 강화된 CC-Link/LT 네트워크의 구축이 용이함을 강조하고 있어 국내의 관련 분야에서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산업용(또는 공장용) 통신망의 핵심인 필드버스(Field Bus) 국제표준규격은 현재 국제전기위원회(IEC), 국제표준화기구(ISO) 등을 중심으로 10여개 프로토콜들이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며, 세계 시장규모는 연간 약 2000억$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동안 국내에는 ODVA나 CC-Link를 포함한 필드버스 관련단체가 5개나 난립하여 국제표준 제정에 국내업체의 입장이 반영되기 힘들었는데, 2003년 11월에 한국자동화표준시스템연구조합(KASAS), 산업자원부, 한국표준협회 등을 비롯한 산학연이 광범위하게 참여하여 필드버스표준포럼을 창립하고 필드버스 표준규격 제정과 활성화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
저자
K. Oga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4
권(호)
(624)
잡지명
산업과 전기(C063)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21~29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