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계 설비 진동 진단에 대한 최근의 기술 동향

전문가 제언
□ 산업 기술의 발달과 고임금 추세에 따라 제조 현장에서 기계 설비의 자동화, 메카트로닉스화 현상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설비보전의 중요성이 높게 부각되고 있다.

□ 이에 따라 국내기업의 제조현장을 중심으로, 생산설비의 유지관리 효율화를 위해 전원참가의 생산보전시스템(TPM;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System)이 확산 및 전개되었으나, TPM에 의한 설비관리 방식으로는 설비 유지관리의 과학화에 미흡한 점이 있다.

□ 국내의 경우, 기계 설비의 유지관리 과학화를 위한 진동 측정 및 진단기술이 1990년대 초반부터 도입․운영되고 있으나 미국, 일본 등 선진 공업국에 비하여 제조현장에서의 적용실태는 아직 미흡한 실정에 있다.

□ 이에 따라 기계장치의 활용이 높은 석유화학, 제철, 제강 및 기타 중화학 부문 등의 국내 제조업분야를 중심으로 설비 진동 및 진단 기술의 확산전개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유능한 기계 설비 진동, 진단 기술자가 부족한 상태에 있으므로 제조업체에서 충분한 기계장치 진단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 이와 같은 기계설비 진단기술자 활용상의 문제점에 대한 해소방안으로써 진동 진단분야 숙련기술자와 고도의 전문기술능력을 갖춘 기술자를 메인센터에 집중시켜 근무토록 하고, IT를 활용하여 복수의 플랜트 설비에 대한 기계설비 진동진단시스템의 운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 IT를 활용한 진동 진단시스템의 도입 및 적용은 향후 설비진단 기술자의 유효한 기계설비 정비관리 컨설팅 수단으로서 설비안정화와 기계설비 예지보전(CBM)에 의한 메인터넌스 최적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T. Fukunag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459)
잡지명
Journal of economic maintenance tribology(B482)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4~19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