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활관리와 장치진단 등을 시스템적으로 통합 일원화한 패키지
- 전문가 제언
-
□ 현재 국내 대기업의 제조현장을 중심으로 기계장치의 유지관리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전원참가의 생산보전 시스템(Total Productive Maintenance System) 구축에 의한 설비 보전 관리방식”이 널리 보급되어 운영 중에 있다.
□ 그러나 기계장치의 유지관리를 가일층 향상시켜 나아가기 위해서는 윤활관리기술의 향상과 함께 과학적 설비진단 관리방식인 진동측정 및 진동해석에 의한 설비진단기술의 도입 및 운영이 필요하다.
□ 이에 따라 국내기업에 있어서도 플랜트 설비의 유지 관리에 있어서 기계설비의 정비검사에 진동측정 방식을 이용한 설비진단 유지관리기술이 도입 운영되고 있으나, 아직 미국, 일본 등 선진 공업국에 비하여, 이에 대한 보급 운영이 미흡한 상태에 있다.
□ WTO와 국제화, 개방화에 따른 무한경쟁시대에 국내 제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대책의 일환으로 제품의 생산성 및 품질향상과 원가절감, 설비 자동화 수준의 제고가 대단히 중요하며, 이와 관련하여 플랜트 자산의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대단히 중요하다.
□ 윤활관리와 기계장치 진단시스템의 통합 일원화 패키지(Package) 기술인 “플랜트 자산관리(PAM; Plant Asset Management) 구축용 소프트웨어 기술”은 새로 개발된 설비자산 관리기술로서, 특히 ‘시스템1’ 기술이 기계설비의 진동감시/해석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PAM 구축용 시스템으로서 석유화학, 제철․제강과 같은 장치산업 분야에 우선적으로 도입 및 운영되어져야 할 것으로 검토된다.
- 저자
- Y. Kawap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59)
- 잡지명
- Journal of economic maintenance tribology(B48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1~36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