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분야에서 질량분석 방법(Contribution of Mass Spectrometry in Life Science)
- 전문가 제언
-
□ 단백질(protein)과 전체라는 뜻의 -ome을 합성하여 만든 프로테옴(proteome)은 게놈에 대비되는 단백질을 일컫는 말이고 단백질의 기능이상과 구조변형에 대한 분석기술을 프로테오믹스(proteomics)라 한다. 인간게놈지도(map)가 완성되고 인간 유전자 수가 3만개 정도로 확인되면서 미국 생명공학업계가 인체설명에 게놈 이후 연구과제로 프로테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인간게놈 프로젝트에 버금가는 SNP라는 단백질 연구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으며 과학자들은 프로테옴 연구가 암 등 질병치료에 이바지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 프로테옴(proteome)은 실제적인 생명활동 담당자인 단백질과 게놈(genome)을 합친 융합어로 한 생물에 발현하고 있는 모든 단백질을 집합적으로 의미한다. 게놈의 발현정보 해석뿐만 아니라 단백질의 동태나 상호작용을 조사하여 게놈정보와 결부시킨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복잡한 세포조직과 단백질 기능을 명확히 밝히는 연구가 프로테옴 분석 연구이다.
□ 정량분석의 일종으로 시료를 진공 속에서 이온화하여 생성된 이온을 그 전하와 질량의 비에 따라 전기장과 자기장을 이용하여 분리시켜 피크로 결정하고 피크의 높이로 정량화하는 방법이 질량분석(mass analysis)법이다. 분석대상은 기체나 기화할 수 있는 물질로 원자량이나 분자량의 결정, 원자나 분자의 이온화 에너지 측정, 안정 동위원소 분석, 탄화수소의 분석 등 분광학적으로 측정이 어려운 물질의 분석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 게놈프로제트의 성공으로 분자 각각에 대한 연구 대신 먼저 분자수준에서 정보를 얻은 후 그 정보를 종합해서 각 기능을 총체적으로 해석하는 게노믹스, 트랜스크립토믹스, 프로테오믹스, 메타볼로믹스 등이 제안되어 이들을 -omics라 한다.
□ 본고에서는 프로테오믹스나 메타볼로믹스의 질량분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프로테오믹스의 실용화는 게놈정보를 단백질에 대한 데이터 축적과 단백질의 분석방법이 필요하고 단백질 처리 방법 및 질량분석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프로테오믹스 기술은 실용화 수준에 있으나 진단이나 치료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시간에 맞춰 좀 더 정밀하고 신속하게 해석할 수 있어야 하며 향후 이를 위해 질량분석기술이 발달하고 종합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으로 시료된다.
- 저자
- Yoshiaki OSUGI ; Tsutomu NISHIN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36(10)
- 잡지명
- 분체와 공업(A34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3~79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