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금속 자원의 재활용 : 정석공학 측면에서의 접근

전문가 제언
□ 최근, 지속가능한 발전의 요구에 따라, 고갈성 자원인 금속은 자원 순환형 기술의 구축이 핵심 과제가 되어 금속분리정제 및 화합물 제조기술, 신제련 공정기술, 폐자원 분리회수기술 등의 금속순환사회 구축을 위한 새로운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 기본적으로 유통량이 많아 폐기물 발생량이 많은 Fe, Al, Cu 등의 베이스 메탈은 대체로 30~50% 재활용되고 있다. 재료에 기능부가를 위해 표면 처리 강판이나 클래드재 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거기에 이용되는 Sn, Ni 등의 성분이 정제 공정으로 제거되지 않고 재질에 영향을 주고 있다. 재활용율 향상을 위해서는 재활용 공정 개선뿐만 아니라 재료 설계나 제품 설계 측면으로부터의 대응이 필요하다.

□ 희유금속의 경우는 스테인리스강 중의 Ni 등 특수강철의 첨가 원소, 초합금이나 티타늄 합금 등 특수 금속의 가공폐기물, 사용완료 촉매로부터 회수되는 것, 초경합금 등 사용완료 공구로부터 회수되는 것 등이 있다.

□ 금속 재활용 촉진을 위한, 회수 시스템, 분리 기술, 재료·제품 설계의 효율적 개선을 위해서는 그 방향성을 밝혀 가는 평가 기술이 필요하다. 아무리 제품 비율이 좋은 분리 기술을 개발해도 그것이 에너지 과소비형이거나 환경오염형 등 원광석으로부터의 제련보다 전체 환경 부하가 큰 것은 의미가 없다.

□ 영세한 재활용 처리업자들의 낙후된 기술로는 복잡한 부품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생산자가 재활용 과정에 직접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EPR제도 시행에 따른 생산자들의 재활용 의무량 확대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다 확고한 수거 체계 확립으로 자원성 폐기물의 외국 유출을 막아야 한다.
저자
Izumi Hirasaw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49(10)
잡지명
Chemical engineering(A171)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763~768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