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유 가격 급등의 배경과 향후 전망

전문가 제언
□ 한국은 국제유가 1달러 상승 시 10억달러의 국제수지 적자와 약 0.17%의 소비자물가 상승을 초래한다.

□ 따라서 이번 고유가사태의 원인 배경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통해 미래 대응방향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 이번 고유가사태의 특징은 석유의 미래가치에 대한 기대수준 변화에 따라 석유가격은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에서 시장균형을 이루었으며, 공산품 등 확대 재생산 가능 재화에 비해 낮게 평가된 고갈성 자원인 석유 가치를 보정하려는 시장의 힘이 반영되었다. 또한 석유산업의 시장변화 대처능력이 현저히 저하되고 있으며, 에너지문제에 대한 접근방법 상의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도출되었다.

□ IEA는 2004년 대비 2005년 세계석유 수요량 증가분 전망을 2004년 10월 전망 이후 계속 줄여가고 있으며, 11월 보고서에서는 2005년 석유수요가 2004년보다 1.4백만 배럴 증가한 83.8백만 배럴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OPEC도 10월 보고서에서 1.74백만 배럴에서 1.61백만 배럴로 하향 조정하고, 11월에는 1.49백만 배럴로 재조정해 2005년은 83.2백만 배럴로 예상했다.

□ 이는 내년도 세계경제 성장의 둔화, 중국 정부의 경기과열 진정정책, 에너지절약정책, 신재생 에너지 공급 확대 등에 따른 것이다. 이에 국제유가는 다소 안정되지만, 국제 석유시장의 구조적 불안정 등으로 35달러 이상(WTI유 기준)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 향후 석유시장 전망은 석유 RENT 배분구조를 결정하는 시장 메커니즘 변화에 달려있다. 이에 해외석유자원 확보 체제구축 등의 장기적인 대응원칙 수립과 함께, 석유 저소비 구조의 체계적 전환 대책 마련, 대체에너지 보급, 해외자원개발 확대 등 에너지공급 안정성 재고를 위한 대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저자
K. Sudou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41(10)
잡지명
고압가스(A169)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04~908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