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소,벤처 기업이 연결하는 중국 비즈니스의 문

전문가 제언
□ 한국의 대 중국 투자는 2004년 한 해 동안 70억 달러를 돌파하여 미국과 일본을 앞지르고 중국의 3위 투자국으로 부상하였으며, 이 기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에 진출한 국내기업 수는 1만개가 넘고, 미신고 법인까지 포함하면 3만개가 넘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수출입은행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기업이 중국에 투자한 후 철수에 이르는 기간은 3년 이내가 63.5%, 5년 이내가 78.7%로 5년을 버티지 못하는 기업이 전체의 2/3를 훨씬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투자 실패 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주요 실패 원인으로는 불충분한 시장조사와 그에 따른 예상치 못한 자금난, 부적절한 투자형태와 투자지역의 선정 및 단기적 안목에 의한 투자 접근 등을 지적하고 있다.

□ 중국의 낮은 임금과 광대한 시장 및 최근 들어 중국의 “세계 공장화”에 매력을 느낀 일본의 중소기업들은 독창적인 기술이나 상품을 가지고 중국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종전에는 싼 임금을 활용하여 염가로 제품을 생산하여 그 제품을 일본에 도입하거나 중국에 진출한 기업에 판매하는 것이 주된 진출 이유가 되었으나 중국경제의 성장과 함께 일본의 중소기업은 중국시장에 직접공세를 펴거나 중국 기업뿐만 아니고 세계적인 사업을 하는 중국 로칼 기업과 협업을 추진하는 케이스가 급증하고 있다고 한다.

□ 본문은 일본의 경제신문 기자가 중국에 진출하는 일본 중소기업들의 형태와 중국 진출을 지원하는 벤처기업체나 중소형 지원 사업체에 대하여 지원 내용과 활동 사례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일본 중소기업들은 대규모 상사나 엔지니어링회사를 통한 진출보다는 신속하게 협력이 가능한 벤처형태의 진출지원 비즈니스업체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실제로 성공한 사례가 많다고 한다.

□ 국내에도 중국진출업체를 위한 조사, 법률적 지원, 서류의 작성 번역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체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사실은 안전한 투자를 위해 다행한 일이나 그 내용의 범위나 질을 계속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그리고 중국 진출을 단순한 저임금을 이용한 저가 생산만이 아닌 글로벌한 사업 전개의 한 수단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저자
A. Natori ; H. Ogaw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4
권(호)
41(10)
잡지명
고압가스(A169)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884~888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