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에너지 문제와 국제사회에의 영향
- 전문가 제언
-
□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의 2004년 12월 11일 발표에 따르면, 2004년은 경제성장률 목표를 7%로 제시했지만 9%이상이 예상되며, 2005년 성장률은 8%로 전망됐다. 한편, 중국은 2003년 일본을 제치고 미국 다음으로 세계 2위의 석유 소비국이 됐으며 중국의 석유 수입량은 유가 급등에도 불구하고 급속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 중국은 2004년 11월 25일 매년 석탄환산 3억톤의 에너지 절감을 목표로 한 2005~2020년의 에너지 종합대책을 개방이래 최초로 발표했다. 이는 에너지 소비량을 GDP 매 1만위안(약 1천200달러) 당 석탄 환산으로 2010년 2.25t, 2020년 1.54t까지 낮춘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06년 이후의 모든 신축건물에 대해 기존 대비 ㎡ 당 50%의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는 신공법 도입을 의무화한다. 중국은 부총리급을 수장으로 하는 에너지전담 기구 신설도 적극 검토 중이다.
□ 한국과 중국의 에너지 관련기업들이 2004년 12월 8일 중국 베이징에서 「제1차 한.중 에너지협력포럼」을 열고 원유 구매, 수송, 비축 등의 분야에서 공조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 중국은 2003년 9월까지 평균 179만B/D의 원유를 도입하였지만 2004년 9월까지 240만B/D를 수입하여, 약 25%의 증가세를 보였다. 작년 같은 기간 러시아로부터는 9.8만B/D를 수입한 중국은 2004년에는 작년의 2배를 능가하는 23만B/D를 수입했다.
□ 최근의 유가 급등에 큰 영향을 미칠 정도의, 중국의 석유소비 급증을 충당해 줄 수 있는 공급원은 현재 러시아가 유력한 공급원으로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 중국의 해외원유수입 급증은 중국내 정유시설의 특징 때문에 대서양 원유중심의 경질유 확보 경쟁으로 이어지고 있고, 이는 미국 등 강대국과의 원유확보 경쟁으로 귀결되어 우려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또한, 가격측면에서도 경질원유와 중질원유간의 가격차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 저자
- LI Jidong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41(10)
- 잡지명
- 고압가스(A16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889~894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