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기술을 리드하는 홈 로봇의 개발 동향(Trends in Development of Home Robots Leading Advanced Technologies)
- 전문가 제언
-
□ 각 회사가 개별적인 규격으로 로봇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고, 요소 기술의 모듈화, 인터페이스의 공통화 및 통신 프로토콜을 행하여 지금까지의 개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광범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로봇 시장이 전개될 것으로 기대된다.
□ 홈 로봇의 개발을 위해 공통 기반으로의 개발 인프라의 정비가 필요하다. 각 회사가 개별적으로 제품화하기 보다는 공통적인 대처로 콘텐츠와 서비스를 망라한 비즈니스가 성립될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 Toshiba의 ORCA는 기본적으로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이지만 이에 대응하는 CPU 보드의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최종적으로는 실용화를 향하여 소형화, 낮은 소비 전력화를 위해서 시스템 LSI의 개발까지도 넓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가 업그레이드되면 각종 엔진의 성능 향상뿐만 아니라 로봇 자체의 성능 향상이 실현될 것이다.
□ 로봇과 인간 간의 인터페이스와 인터랙션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로봇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로봇이 동작하는 물리적 환경도 고려하여 종합적인 디자인에 로봇 사용자도 포함시킨 거주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미래의 로봇 시장 예측으로 2010년에 3조엔, 2025년엔 8조엔이다. 각 분야 중에서 특히 생활 분야의 시장 예측에 관해서는 늘 재점검이 필요하며, 네트워크 관련 시장과 융합으로 다시 확대될지 모른다는 예측 결과도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세계의 로봇 시장에 삼성, LG전자 등의 대기업도 적극 참가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으로 (주)미니로봇, 유진 로보틱스 등이 실생활용 홈 로봇을 개발 생산하여 세계 시장에 시판하고 있다.
- 저자
- MATSUHIRA Nobuto ; OGAWA Hide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59(9)
- 잡지명
- 도시바리뷰(A09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2~8
- 분석자
- 김*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