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로봇 시장 확장과 새 로봇 산업의 창조(Toward Expansion of Robot Industry Market and Creation of New Robot Business)

전문가 제언
□ 산업 경쟁력 강화와 고령화 사회 대책면에서 제조업 중심인 현 상황에서의 로봇 산업을 생활 지원 로봇 등과 같은 비산업 분야에도 확대하는 기술 개발 노력과 산업 정책이 전개되고 있다.

□ 이와 같이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용 로봇은 그 사용자의 요구가 극히 다양하며, 그 신 시장 마련을 위해서는 시장 주도의 기술 개발 노력과 사용자 요구에 부응하여 세밀히 대응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게끔 하는 시스템이 요망된다.

□ 로봇 분야에서의 산업을 이룩하는 한 방책으로 열린 구조의 로봇 요소라든지 로봇 시장에 제공하는 메이커와 사용자의 요구에 응하여 로봇을 설계 제공하는 인터그레이터와의 분업으로 이뤄지는 새로운 로봇 산업 구조를 구축해갈 필요가 있다.

□ 20세기의 종반인 1990년부터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고령자 지원 문제가 지적되어 이점에서의 로봇 기술의 기대도 상승하여 간호, 간호 보조로봇, 생활 지원 로봇과 같은 서비스용의 개발이 주목받게 되었다.

□ 일본, 미국, 스웨덴은 극한 작업용 로봇 개발 , 학습 지능형 로봇 개발 등의 시스템 분야와 3차원 시각센서, 배열 센서 등 외부환경보다 적합한 인식 기능을 부가된 로봇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최근 일본의 경제 산업성과 한국의 정보통신부가 신산업창조전략을 발표하여 각각 중점 7개 분야와 9개 엔진 중 하나로 디지털 콘텐츠 등과 함께 로봇 산업을 들고 있다. 산업용 로봇 분야의 세계 1위인 일본은 현재 산업용 로봇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2010년부터는 서비스용 로봇이 전체시장의 6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한국은 2013년 지능형 로봇 시장 점유율 15%를 목표로 세계 3위의 로봇강국의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들과 대학들이 로봇 개발에 적극적으로 연구 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고 본다.
저자
TANIE Kazu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4
권(호)
59(9)
잡지명
도시바리뷰(A093)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9~14
분석자
김*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