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선진 복합재의 항공기 적용 현황과 비행 안전 확보상의 과제(전편)

전문가 제언
□ 재료공학의 발달, 특히 그 중에서도 탄소섬유의 개발로 오늘 날 수많은 분야, 특히 이동체의 재질로 가볍고 단단함을 가진 탄소 복합 소재는 선박뿐만 아니라 항공기의 소재로도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경량화가 최선의 선택 조건이 될 수 있는 항공기의 재질로는 더할 나위 없이 매력적인 재질로 인식되고 있으며, 알루미늄 합금 소재보다 가볍고 가격면에서도 유리하며, 강성 또한 우수하므로 거대 수송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오늘날의 초대형 항공기 소재로 가장 적합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 항공기는 각종 안전 관리에 더욱 철저해야 하기 때문에 신소재의 채택여부는 여러 모로 검토해야 할 과제들이 많다. 본고(本稿)에서는 주로 신소재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시험법과 대책 및 시험 규격에 대해 언급했으나 이러한 복합 재료는 용융 상태의 몰딩으로 제작되므로 이음매가 거의 없는, 고른 표면 상태로 제작이 가능한 이점도 있으나 반드시 필요한 부분의 이음매에서는 리벳과의 상호 작용력에 의한 피복 손상 및 항공기의 대기와의 마찰열에 의한 재질의 변형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뿐더러 재질의 수명과 관련된 소재의 피로도 등에 관한 더욱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

□ 안전에 관한 한 아무리 철저하게 점검을 한다 해도 지나치는 법은 없다는 점을 생각할 때 차후 Airbus와 같은 초대형 항공기의 출현으로 인류의 대규모 이동이 쉬워지고 빨라지는 상황에서, 교통생활이 더 편리해질 수 있다고 해서, 또 새로운 소재가 나왔다고 해서, 소재 특성에 대한 지나친 과신과 편의성으로 인해 신소재에 대한 충분한 안전 점검 및 각종 신뢰성 시험에 소홀해지는 일이 있어서는 결코 안 될 것이다.
저자
Ishikawa Takashi ; Iwahori Yutak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4
권(호)
(595)
잡지명
항공기술(A082)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26~33
분석자
홍*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