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 네비게이션의 최신 동향(The Latest Trend of Car Navigation System)
- 전문가 제언
-
□ 일본에서는 자동차의 운행진로 자동조정기능시스템, 소위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car navigation system)이 Toyota자동차가 자사 차량에 탑재 판매한지 이미 10년이 경과했다고 한다. 그동안 전화번호검색, 시가지도, 음성인식, 통신과의 연계 및 차량제어기능 등의 신기능 등이 자동차에 탑재되었으며, 최근에는 데이터의 기록매체도 CD로부터 DVD로 바뀌고, 이를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전화와 컴퓨터의 연계로 이루어지는 텔레메틱스 기능까지 차량시스템과의 협조방향으로 급진전하고 있다.
□ 이러한 신기능 기종장착이 1993년에는 약 15만대였으나, 그후 10년 동안 일본 유명 자동차회사가 경쟁적으로 개발하여 자사 생산차량에 장착한 것이 250만대 이상이 되었고, 현재는 일본의 국내 신차 판매대수의 약 1/2정도가 이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하며, 유럽에서도 고급차를 중심으로 하여 2002년에 이미 130만대를 초과했고, 미국은 물론 중국, 중근동 및 호주에서도 이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보급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 그러나 현재상태의 텔레메틱스 서비스가 휴대전화를 이용한 통신이 기본으로 통신비용이 높고 통신속도가 늦은 점과 통신 불가능 지역 등 통신 시스템상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가일층의 신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 세계유수의 선진 자동차 생산국의 하나인 우리나라도 부가가치가 높은 고급차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도 이러한 신기술의 세계적 추세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며, IT 강국인 우리나라도 이에 대비할 수 있는 충분한 기술력이 있다는 확신으로, 이 문헌의 내용을 관계요로에 참고자료로 소개하는 바이다.
- 저자
- Masao Kawa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58(2)
- 잡지명
- 자동차기술(A08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38~43
- 분석자
- 차*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