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디지털방송의 차내 활용 가능성(Potential of Mobile Reception of Terrestrial Digital TV Broadcasting)
- 전문가 제언
-
□ TV화면의 주사선이 1125로 형성된 고정밀, 고섬세함, 고화질, 고음질의 HD(High Definition)방송, 또한 HD방송의 1개 채널로서, SD(Standard Definition)방송, 즉 현행 방송방식의 최대 3개 채널까지 방송할 수가 있다는 지상파 디지털방송이 일본에 도입된 것이 2003년 12월 Tokyo, Osaka, Nagoya의 3대 광역권에 머물러 있고, 일본전국에 디지털방송이 개시되는 것을 2006년으로 보고 있다.
□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일본의 민방TV국 127개사가 소요로 하는 투자총액이 무려 80조엔 이라고 한다. 시대의 흐름으로 불가피한 변화이긴 하지만, 고민은 대단히 큰 것이다. 즉 이러한 막대한 투자가 용이하지도 않겠지만 과연 이익의 측면에서 방송사업자에게 메리트가 있느냐 하는 것이 의문이다.
□ 그러나, 접속수단의 다양화와 Seamless화라는 2가지 기술적 특성으로 특히 자동차 등의 대 이동체 방송의 실현과 이에 따르는 차량적재형 네비게이션의 수신을 위한 대응이 업계에서 급속하게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디지털방송은 극히 최근에 부분적으로 시작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아직까지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대 이동체 방송과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관한 대응은 활발한 편이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Mamoru Nishiya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58(2)
- 잡지명
- 자동차기술(A08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61~66
- 분석자
- 차*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