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방송(Mobile Broadcasting)
- 전문가 제언
-
□ 디지털 방송이 시작되면서 보다 고화질, 고품질의 음향 수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차량이 일반 통행 수단으로 보편화되어 있는 현 시점에서 모바일 방송은 새로운 방송 서비스로 부상하게 되었고, 이에 따르는 기술적 문제점들도 점차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기술진들이 당초 유럽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희망하였는데, 이는 특히 디지털 모바일 방송에서 고화질의 영상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는 기술적 검토 결과였다. 그러나 이미 미국 방식으로 잠정적 결정이 된 상태에서 시스템을 쉽게 바꾸기 힘든 단계에까지 이르게 되었고, 최종 검토에서 시스템 변경에 너무나 큰 경제적 부담과 미국 방식도 결코 유럽 방식에 비해 뒤지지 않으며 고정 위치나 케이블에서는 미국 방식이 보다 더 고화질의 영상 수신이 가능하다는 결론으로 이 문제를 종결지었음은 기술적 우위가 정책적 우위를 극복할 수 없다는 느낌을 남기게 했다.
□ 디지털 세계는 유무 또는 정부(+ · -)가 명확한 논리의 세계이다. 과거 아날로그 시대에서는 미약한 전파로 수많은 노이즈를 동시에 실어와 수신 장애를 유발시키던 방송파가 보다 깨끗해지고 확실한 영상과 고품질의 음향으로 시청자에게 다가가게 되었다.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PDA(휴대 단말기)와 더불어 모바일 전용 디지털 수신기의 보급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Atsushi Itsukai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58(2)
- 잡지명
- 자동차기술(A08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67~72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