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고분자 나노콤포지트와 응용 예
- 전문가 제언
-
□ 고분자재료의 콤포지트(composite)화에 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화는 오래전부터 각종 스포츠용품의 제조분야를 비롯하여 자동차부품 및 전자제품은 물론이고 항공・우주분야의 부품 소재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이제는 콤포지트 제조기술에 나노기술까지 응용되고 있어 갈수록 플라스틱 소재의 고부가가치화 및 고기능을 위한 길은 그 끝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실정이다.
□ 일반적인 종래의 콤포지트 기술에서의 문제는 첨가하는 각종 무기재료와 고분자의 상용성을 최고로 하기위한 화학적인 변성이나 컴파운딩(compounding)과정에서의 기계적인 혼련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연구와 설비의 개발이 필요하였고 이런 어려움으로 인해 가공설비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고분자 콤포지트 소재의 제한으로 여겨져 당연히 고가의 제품분야에만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 종래의 유리섬유나 탄소섬유와 특수한 케블라(Kevlar)와 같은 콤포지트 필러(composite filler) 외에도 천연의 벤토나이트를 유기물로 변성시킨 몇 종류의 나노클레이의 출현으로 콤포지트 컴파운딩(composite compounding) 과정에서의 충진제의 분산이 훨씬 쉬워지고, 충진제의 첨가량도 낮아지며, 기계적인 부하도 낮아지고, 가스 배리어(gas barrier)성이나 난연성 등 여러 가지의 복합적인 상승효과가 얻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은 지금까지의 콤포지트 소재의 이용분야뿐 아니라 이것을 필요로 하는 첨단기술 분야에도 다행한 일로 생각된다.
□ 본 논문은 나노기술을 응용하여 천연의 벤토나이트 소재를 이용하여 만든 나노클레이를 기존의 콤포지트 물질(composite material)을 만드는 분야에 응용한 결과 지금까지 얻기 어려웠던 새로운 소재의 특성을 얻을 수 있어, 이 나노클레이를 이용한 각종 엔프라(engineering plastics) 소재의 이용분야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는 선진국이나 일본의 동향을 정리한 것으로 우리나라의 연구자들에게도 상당한 힌트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저자
- Tomoyuki NAKA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55(10)
- 잡지명
- Japan plastics(A05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9~64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