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온빔에 의한 ePTFE 인공경막의 표층개질 및 피브린호 접착성의 부여
- 전문가 제언
-
□ 혈액응고 반응은 혈액응고 인자물질이 점차적으로 활성화되어 최종적으로 피브리노겐이 피브린으로 전환되어 혈전이 생기게 되며, 이의 혈액응고작용을 이용한 생체 접착제가 피브린호이다. 피브리노겐은 트론핀의 작용에 의해 가용성 피브린으로 되고 칼슘이온 존재 하에서 혈액 응고제 인자는 트론핀에 의해 활성화되어 피브린을 요소불용성의 안정화 피브린 괴로 만들어 조직의 접착 및 폐쇄가 되도록 한다. 이의 안정화 피브린 괴 내에서 선유아세포가 증식하고 교원선유나 육아기질성분이 생겨 조직수복을 하게 되므로 피브린호의 역할이 중요하다.
□ 이온빔 조사법에 의한 재료개질에서는 재료가 고체일 경우에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나 사용되는 이온이 이온원의 성능에 좌우되므로 이온화가 되어야 조사가 가능해진다. 이온이 재료 표면에 조사된 경우 조사손상효과는 표적재료의 구조 제어에 이용되고 첨가효과는 화합물 형성 등에 이용된다. 의료용 재료의 목적 초기에는 인공관절에 응용할 목적으로 금속재료의 이온빔 조사에 의한 개질이 시작되었지만, 최근에는 고분자재료, 생분해성 고분자, 단백질 등에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어 좋은 개질재료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ePTFE에 이온빔을 조사함에 의해 피브린호 접착성 및 조직 접착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두개 저변재건을 목적으로 실시한 임상실험에서 20예 중 19예가 수액누수 방지효과가 있었으므로 외과의 에 있어서는 수술 후 관리가 용이해지고 환자에 있어서는 치유 촉진에 도움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는 신규 인공 경막으로의 유용성과 피브린호 접착성 및 조직 적합성을 갖는 ePTFE가 여러 가지 상황에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해 주고 있어, 앞으로 뇌동맥유의 개두 수술에서 동맥유 부분의 혈전 형성을 시키는 데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저자
- Y. Suzuki ; H. TAKAHASHI ; M. Iwaki ; Hiroshi U. (etc.)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8(9)
- 잡지명
- 접착(A04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93~397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