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온성 액체를 사용한 금속이온의 추출 분리(Solvent Extraction of Metal Ions with Ionic Liquids)
- 전문가 제언
-
□ 화학 및 석유 화학 공정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 대기오염의 주원인으로 밝혀짐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이들 물질의 사용한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대체할 수 있는 용매로 물, 불소 화합물 및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수용성 촉매가 개발되어야 하며, 물에 대한 유기기질의 용해도가 매우 낮아 문제가 있다.
□ 용제는 독성과 휘발성이 없고 안정해야 하며, 여러 가지 물질에 대한 용해력이 크고 회수와 재사용이 용이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최근 부각되고 있는 이온성 액체에 대한 것으로 유기 용매와는 달리 쉽게 증발하거나 휘발하지 않는다. 이온성 액체는 소금과 화학적으로 유사하지만 상온에서 액체이다. 유기용매와는 달리 많은 이온성 액체들은 쉽사리 증발하거나 휘발하지 않는다.
□ 이온성 액체의 잠재적 시장은 어마어마하다. 현재 석유화학 및 의학 산업에서만 약 10억달러에 달하는 유기 용매가 사용되고 있다. 프랑스의 한 업체는 이미 플라스틱 가소제를 제조하는 데 이온성 액체를 사용하고 있다. 연구원들은 또한 물로부터 카드뮴과 수은을 제거하는 이온성 액체를 디자인하여 제조하였으며, 이를 산업 폐수 정화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국내의 신약 개발사인 한 바이오 벤처기업은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광학활성 화합물을 개발하여 상당한 매출을 올렸으며, 최근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신약 개발과 정밀화학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온성 액체는 환경적 측면은 물론, 경제적인 관심에서도 바람직한 청정용매라 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확산되고 정부 및 기업체의 연구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Kojiro Shimoj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55(11)
- 잡지명
- 화학공업(A02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860~865
- 분석자
- 이*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