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능성 이온성 액체(Functionalized Ionic Liquids)

전문가 제언
□ 다양한 화학원료를 제조하는 석유화학공업에 있어서 고효율이면서 환경부하가 적은 반응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로 되었다. 대량 생산 프로세스에 있어서는 용매나 촉매의 변경에 의하여 프로세스 전체의 경제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막대하다. 그만큼 용매와 촉매는 화학반응 전체를 지배하는 인자라고도 말할 수 있다. 석유화학공업에 있어 새로운 “Clean Chemical Process” 개발에 있어 새로운 용매·촉매의 개발이 필요 불가결하게 되었다.

□ 최근 들어 이온성 액체가 화학반응에서 반응용매, 전기화학 디바이스의 전해질 등으로서도 급격히 주목을 받고 있다. 이온성 액체는 실온(경우에 따라서는 0℃ 이하도 있다)에서 액체의 염(塩, salt)이고 무기염을 포함한 여러 화합물을 용해시킬 수 있고 우수한 열안정성을 갖고 또 증기압이 거의 제로임으로 VOC free의 용매나 전해질로 이용될 수 있다.

□ 더욱이 이온성 액체는 다채로운 유기 이온으로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종다양한 염을 조합시킴으로서 목적에 부합하는 성질의 용매를 디자인할 수 있는 등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나타냄으로 여러 종류의 화학반응이 시도되고 있다. 그 대부분이 종래의 유기용매를 사용한 방법과 비교하여 수율·선택률·반응효율 등의 점에서 우수한 결과가 보고 되고 있다.

□ 그러나 실제 반응매체로 이용할 경우 원료, 생성물, 부생성물 등을 이온성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어렵고 증류로 분리하지 않을 경우 이온성 액체에 용해하지 않는 물이나 에테르 등의 유기용매에서 2상계를 형성시켜 추출하는 방법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이온성 액체를 반복 이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는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자
Tomoya Kitadum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55(11)
잡지명
화학공업(A02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25~829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