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의 전후 내화물 업계사 개요(제1회)(History of Refractories Industry after 1945 (1) )

전문가 제언
□ 일본의 내화물 역사를 보면 Maku말부터 1945년까지 약 100년의 내화물기술의 변화에 비하면 전후 60년의 변화는 크고, 대변혁의 시대로 보아도 좋다고 생각된다. 종전을 맞이하여 전쟁 중에 늦은 기술을 선진국으로부터 흡수하고 기술향상에 노력하여 1960년대에는 세게 최첨단기술국이 되었다. 1970년대에는 현재의 내화물업계의 체제가 만들어 졌다고 본다.

□ Yorita는 내화물의 발전시대를 Shouwa 20~24년, 25~35년, 36~44년, 45~50년으로 4개 구간으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다. 처음에는 일본 국산 원료만으로 생산하던 시대, 협회발족과 외국기술도입시기, 대형제철소 설립과 더불어 생산량이 급증한 시대, 최고 생산량 300만 톤을 돌파한 시기로 나눠 설명하고 있다.

□ 내화물은 주 사용처인 철강공업, 시멘트공업, 유리 및 요업공업 등의 발전과 더불어 성장하는 공업으로, 세계 2차 대전이 끝나고 일본의 전체적인 공업이 침체했다가 Shouwa 25~35년(1950~1955년)에 들어와서 다시 기술적으로나 물량적으로 성장하는 시기에 한국 6.25전쟁이 일어나 한국의 전쟁 특수가 일본의 전체적인 성장에 일부 기여했음을 감안하면 일본의 내화물 발전에 크게 이바지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철강 생산에는 많은 내화물이 쓰이며 초기의 철강 톤당 원단위는 높았으나 한국도 일본과 같이 원단위가 많이 낮아지고 있다. 특히 POSCO 연관 단지 내에는 내화물 전문 생산 업체가 입주하여 많은 종류의 내화연와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 품질도 상당히 고급화 하여 대부분이 국산화하고 있다. 내화물 공업도 철강, 시멘트, 요업 등의 경쟁력을 뒷받침해주는 산업으로 한때 일본에서 격려하고 장려하듯이 우리나라에서도 장려하여 성장시켜야 할 산업이라고 생각된다.
저자
Eiichi Yori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56(10)
잡지명
내화물(S551)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10~515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