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기간 네트워크의 혁신적인 아키텍처
- 전문가 제언
-
□ 최근 기간통신망 사업자들이 차세대 통신망 구축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데 그 동향을 보면, 단일 망에서 복합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운영비용과 투자비용을 최소화하며, 망 아키텍처 면에서는 접속 계층, 전달 계층, 서비스 계층, 제어 계층 등이 계층 구조로 구성되어가고 있으며 개방형 네트워크 구조로 개발되어 가고 있다.
□ 해외 통신업들의 개발 방향을 보면 프레임 릴레이나 ATM보다는 IP방식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신규 통신망은 음성과 데이터를 동시에 수용 할 수 있는 망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장비 업체들은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으며 VOAT(Voice Over Alternative Technology)로 IP․프레임 릴레이․ATM을 고려하고 있고, 텔레포니와 데이터를 통합해서 유무선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서비스 통합으로 방향을 설정하고 있으며, IP 기반 통신망의 개발이 대세이므로 MPLS와 GMPLS를 통한 통신망 통합이 예측되고 있다.
□ 한국 기간망 구축 현황을 보면 기간망의 구성은 멀티 레이어 아키텍처 서비스와 IP 통신체계로 많은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으나, 최근에는 많은 기간망 시스템이 Gigabit Ethernet을 이용하여 기간망을 구성, 운영되고 있다. 또 DWDM을 이용한 멀티 레이어 아키텍처로 운영하고 있으며, 다이내믹 IP 통신 체제를 가지고 있으나 기간망의 최적운영체제와 경제적인 활용이 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Takashi Kurimoto ; Ichiro Inoue ; Hisashi Kojima ; Shigeo Urushidan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16(9)
- 잡지명
- NTT gijutsu journal(N40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8~12
- 분석자
- 조*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