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의 IPv6 위상 공간 주소방식
- 전문가 제언
-
□ 일본 의료계는 IPv4의 한계를 IPv6 네트워크로서 극복하려고 하고 있다. 이는 일본의 고속 정보화 계획의 일환으로 유비쿼터스 응용의 일환으로 의료 정보의 인터넷 활용과 고속 네트워크를 활용한 화상 원격 진료 등의 분야에 IPv6 주소 체계를 활용할 수 있다.
□ 또한 심전도 측정기기, 혈당 측정기, 맥박 자동 측정기 등과 같은 휴대용 의료기기가 각각의 IP 주소를 받아 사용함으로써, 환자뿐만아니라 의료진, 환자 가족에게까지 실시간 정보로 진료 및 사고에 대한 예방을 할 수 있다.
□ 이에 움직이는 의료 기기에 위상 공간 주소를 할당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향후 위치추적 시스템의 개발로서, 환자의 이동경로, 일일 운동량, 긴급 환자 후송 등에 적극 이용될 수 있으며, 실버 시대의 복지 환경 구축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세상을 앞당길 수 있다.
□ 가정내에서는 광가입자의 인입으로, 초고속 인터넷이 가능하고, 이를 가정내 의료기기의 IPv6 주소 체계와 연계하여 홈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격 화상 진료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긴급환자의 응급 처치 및 장기 관찰 환자의 실시간 관찰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국민 의료 증진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이러한 IPv6 응용 서비스에 위치 정보를 포함시키고, IPv6의 QoS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된 End-To-End Multihome은 넓은 주소 공간을 갖고 있는 IPv6의 주소 할당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세계 각 나라에서 이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Haruyuki TATSUMI ; Masahiro NAKAMURA ; Hirohumi AKASHI ; Hazime TOKURA (etc.)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22(10)
- 잡지명
- 컴퓨터와 네트워크랜(N32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0~28
- 분석자
- 양*승
- 분석물
-